2025년 7월, LG에너지솔루션은 EV 수요 둔화와 미국 정책 리스크로 인해 시장의 우려가 커졌지만, 하반기에는 ESS·LFP·원통형 배터리 중심의 실적 반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ESS 수주잔고 10조 원대, LFP 양산 본격화, 테슬라향 원통형 공급 확대는 단기 모멘텀을 넘어 중장기 성장의 구조적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의 사업별 실적 흐름, 정책 변수, 투자 전략을 전문가 관점에서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LG에너지솔루션 투자 전략
🗂️ 목차
2Q25 실적 리뷰와 시장 우려
하반기 실적 반등의 3대 축: ESS·LFP·원통형
미국 정책 리스크와 대응 전략
밸류에이션 분석 및 투자 전략
마무리 인사이트
면책조항
📉 2Q25 실적 리뷰와 시장 우려
항목
수치
특징
영업이익
약 2조 원 전망
기존 대비 +12% 상향
EV 수요
둔화 지속
미국·유럽 수요 정체
AMPC
하락 압력
보조금 축소 우려
시장 반응
실적 우려 확대
주가 조정 국면 진입
하지만 ESS·LFP·원통형 부문이 EV 부진을 상쇄하며 우려 대비 견조한 실적 흐름이 예상됩니다.
⚡ 하반기 실적 반등의 3대 축: ESS·LFP·원통형
✅ 1. ESS 수주 확대
수주잔고: 10조 원 중반대 추정
미시건 LFP 파우치 양산 시작 → 연 8GWh → 16GWh 확장 예정
북미·유럽·중국 ESS 프로젝트 동시 진행
ESS는 EV 수요 둔화의 대체 성장축으로 매출·이익 모두 큰 폭의 개선이 기대됩니다.
✅ 2. LFP 양산 본격화
25년 출하량: 6GWh → 30년 97GWh 전망
GM 얼티엄 2라인 LFP 전환 → 20GWh 수준
유럽 르노·폴란드·중국향 공급 확대
LFP는 중국 정부의 수출 통제, 미국 관세, 법안 변화로 북미 내 판가 우위 확보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요.
✅ 3. 원통형 배터리 실적 개선
테슬라향 공급 확대 → 안정적 수익원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믹스 개선
생산 효율화로 마진 개선 기대
원통형은 EV·ESS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하반기 실적 방어의 핵심 축입니다.
🇺🇸 미국 정책 리스크와 대응 전략
변수
내용
대응
관세
대중국 배터리 관세 강화
북미 생산 확대 / 현지화
AMPC
보조금 축소 가능성
원가 구조 개선 / LFP 전환
IRA
법안 수정 지속
유럽·중국 수출 다변화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내 생산 확대 + 제품 믹스 전환을 통해 정책 리스크를 실적 기회로 전환 중입니다.
📊 밸류에이션 분석 및 투자 전략
항목
수치
기준
목표주가
42만 원
기존 39만 원 대비 상향
PER
약 20x
글로벌 배터리 평균 수준
PBR
1.8x
성장주 프리미엄 반영
투자 전략
분할 매수 / 하반기 실적 발표 전 선제 진입
지금은 실적 우려가 반영된 저평가 구간으로 ESS·LFP·원통형 중심의 반등 시나리오에 베팅할 시점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EV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ESS·LFP·원통형 중심의 실적 반등이 기대됩니다.
특히 미국 정책 리스크를 대응 가능한 구조로 전환 중이며, 하반기부터 영업이익률 개선 흐름이 본격화될 전망이에요.
지금은 단기 우려를 기회로 활용해, 중장기 성장에 선제적으로 포지셔닝할 시점입니다.
📄 면책조항
본 콘텐츠는 2025년 7월 기준으로 미래에셋증권의 ‘LG에너지솔루션 기업분석 리서치 리포트’ 및 공개된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참고용 투자 정보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및 주가 흐름은 EV 수요, 정책 변화, 수주 상황 등 외부 변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투자 판단은 반드시 개인의 투자 성향과 전문가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니며, 법적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